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각종 장비와 설비를 생산/유통하는 업체.
지앤비에스 에코
일봉
주봉
월봉
분봉

반도체, 태양광, 디스플레이, 발전소 등다수의 핵심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분진 등을 처리하는 공정장비를 개발 및 공급하는 업체. 주력장비는 스크러버(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제조공정 유해가스 처리, 물 사용과 폐수 발생없이 공정시 발생한 유해가스 처리), 질소산화물처리설비(De-NoX) & E.P시스템(반도체 및 태양광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장치), 플라즈마 백연 제거장치(저온, 저전력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백연제거 장치), 파우더 트랩(공정상 진공펌프 배관에 쌓이는 파우더 최소화 장치) 등임.
코미코
일봉
주봉
월봉
분봉

13년8월 미코(구 코미코)의 세정, 코팅 사업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된 업체. 주요 사업으로 고가의 반도체 공정 장비 부품을 재생하는 세정ㆍ코팅 사업 부문과 반도체 장비용 부품을 제작하는 세라믹 소재 부품 사업 부문이 있음.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미국, 중국, 대만, 싱가포르 총 5개국에서 Chip Maker 및 국내외 장비사를 대상으로 근거리에서 세정ㆍ코팅 및 세라믹 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로는 Samsung, SKhynix, Intel, Micron, TSMC, UMC, GlobalFoundries 등 전세계 Major 고객사와 거래중.
티씨케이
일봉
주봉
월봉
분봉

반도체, 태양전지 및 LED용 부품 전문 업체. 고순도 흑연(Graphite)을 이용한 반도체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는 Growing 장비용 Graphite 부품(고순도 흑연 제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하여 제조, 판매. 반도체 Device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Solid SiC Wafer, Ring 등을 판매 중에 있으며, SiC coating사업으로 반도체 ALD 장비에 들어가는 Susceptor류와 LED Chip 생산용 Wafer Carrier를 제조, 판매 중. Solid SiC 사업 부문 매출 비중이 높으며, 매출 대부분은 반도체에서 발생.
기가비스
일봉
주봉
월봉
분봉

반도체 기판 광학검사(AOI) 및 수리장비(AOR) 전문 업체. 반도체 기판의 결함 검출을 통한 품질 관리, 불량의 수리를 통한 수율 향상, 결함 데이터의 집계 및 관리를 통한 생산 공정 관리의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으며, 통합적인 품질과 수율, 공정 관리를 위해 AOI(자동광학검사기), AOR(Automatic Optical Repair), VRS(Verify/Repair System)와 같은 단독 설비와 더불어 단독 설비를 연결한 완전 자동화 설비인 In-Line설비(자동화 설비), 그리고 이들 설비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DTS 등)를 제작하여 판매.
네패스아크
일봉
주봉
월봉
분봉

반도체 제조관련 테스트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반도체 시험 생산업, 반도체 제품 도소매업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주요 제품군으로 전력반도체(PMIC, Power Management IC),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Display Driver IC), SoC(System on Chip/ex.Application Processor), RF(Radio Frequency/ex.5G 모뎀 chip) 등. 웨이퍼 테스트를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 종류별로는 PMIC(Power Management IC) 제품의 테스트 비중이 높은 편임.
한미반도체
일봉
주봉
월봉
분봉

반도체 자동화 장비의 제조 및 판매 업체. 제조용 장비의 개발 및 출시를 시작으로 최첨단 자동화장비에 이르기까지 자체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 제작, 조립, 검사와 Test까지 일괄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에서의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여 글로벌 주요 반도체 제조업체에 장비를 공급중. 주력장비인 'DUAL TC BONDER'는 AI 반도체 구현을 위한 HBM칩 생산의 핵심장비로 HBM 수요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또한, 'micro SAW&VISION PLACEMENT'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